Cute Polka Dotted Pink Bow Tie Ribbon
[오늘의 경제 공부] 트럼프 1기의 관세 전쟁 정리
·
경제/경제 공부
2025년 1월, 도널드 트럼프가 다시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그리고 지금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도 그는 또다시 ‘관세’라는 카드를 앞세워 여러 국가들과 협상을 벌이고 있다.문득 트럼프 1기 당시의 관세 정책은 과연 어땠고, 그 결과는 어떻게 흘러갔는지 궁금증이 생겼다.과거를 되짚어보면 현재의 방향성을 유추할 수 있는 법이다.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 1기 시절의 관세 전쟁을 타임라인과 결과를 함께 정리해보고자 한다. ❓ 트럼프 1기, 관세 전쟁이 왜 시작되었을까?2016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우며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는 미국의 경제 문제 중 하나로 무역적자를 지목했고, 특히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집중적으로 비판했다.트럼프는 “중국이 미국..
[오늘의 경제 이슈] 25/05/12 미중 관세 합의 이슈
·
경제/경제 이슈
며칠 전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집권 이후, 다시금 불붙은 미·중 간 관세 이슈를 타임라인 형식으로 정리한 포스팅을 올린 바 있다. 그리고 어제, 이 흐름에 있어 전환점이 된 고위급 무역 회담의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번 발표는 시장이 예상한 수준보다 훨씬 강도 높은 합의였고, 그 영향으로 글로벌 증시도 즉각 반응했다.🤝🏻 미중 관세, 파격적으로 인하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기존 145% → 30%,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125% → 10%로 관세를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당초 언론 보도에서 예상되던 50~80% 수준을 크게 벗어난 수치로, 시장의 예상을 뒤엎는 결과였다.미국 재무장관 베센트는 기자회견을 통해 관세 세부사항도 언급했다. 미국은 기본 관세 10%에 더해 펜타닐 관련 품목에 대해 ..
[오늘의 리뷰] 경제 초보자를 위한 경제 유튜버 추천 (2025년 기준)
·
리뷰
경제나 투자를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참 다양하다. 책을 읽거나 뉴스를 검색하거나, 혹은 실제 투자를 하면서 몸으로 익히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 가장 진입장벽이 낮고,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은 단연 유튜브다.유튜브에는 수많은 경제 관련 콘텐츠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실질적으로 투자와 자산관리, 경제 상식에 도움을 준 채널들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해 보았다. 각자의 관심사와 상황에 맞게 골라 보면 분명 유익할 것이다. ✅ 소비 습관 잡기에 좋은 유튜브 채널돈을 모으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지출 관리’다. 아무리 많이 벌어도 소비가 많으면 자산은 늘지 않는다. 소비 습관을 점검하고 절약 마인드를 다지는 데 도움이 된 채널을 소개한다.1. 필쌤TV - 김경필의 머니트레이닝재무심리 전문..
[오늘의 경제 이슈]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타임라인 정리
·
경제/경제 이슈
요즘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관세 관련 이슈가 터지고 있다. 포스팅을 할까 말까 고민이 많았던 이유도 그 때문이다. 하루만 지나도 내용이 바뀌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기일수록 흐름을 읽고 큰 그림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펼친 관세 정책과 트럼프 취임 후 관세 정책 타임라인을 정리해보려 한다.❓ 관세란 무엇인가?관세는 다른 나라에서 수입한 물건에 붙는 세금이다.수입품에 관세가 붙으면 가격이 오르고, 자연스럽게 자국 제품이 더 저렴해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국산 제품을 더 선호하게 되고, 이는 자국 산업 보호로 이어진다.✅ 관세 정책의 종류트럼프 행정부는 아래의 세 가지 관세 방식으로 무역 전략을 펼쳤다.보편관세특정..
[오늘의 투자] 업비트에서 빗썸으로 코인 옮기는 방법
·
투자/코인
나는 주식 외에도 소액으로 코인 투자도 병행해오고 있다. 그동안은 업비트를 메인 거래소로 사용해 왔는데, 업비트가 3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는 뉴스를 접하고 고민이 시작되었다.이런 와중에 평소 내가 주로 이용하던 KB국민은행이 빗썸과 연계해 계좌 사전 등록 이벤트를 진행한다는 소식을 듣게 됐다.(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선 빗썸 사전등록 이벤트 마감) 개인적으로 예치금 입출금이 더 편리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꽤 매력적으로 느껴졌고, 이참에 보유 중이던 코인을 업비트에서 빗썸으로 옮기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하지만 막상 옮기려고 하니 생각보다 쉽지는 않았다. 기존에 주식이나 은행에서 하던 이체 방식과는 방식이 달랐기 때문이다. 송금 주소 입력, 전송 수수료 같은 용어들이 낯설게 느껴졌고, 처음에는 꽤나 헤..
[오늘의 투자] 개인이 금 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과 투자 추천 전략
·
투자/주식
앞 전 포스팅에서 금 값이 왜 오르는지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다.그렇다면 개인이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오늘은 개인이 금에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4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정리해보려 한다.1️⃣ 실물 금 구매가장 전통적인 투자 방식으로 실물 금을 직접 사서 보유하는 것이다. 소위 골드바, 순금열쇠, 금반지 등 다양한 형태로 구매를 할 수 있다.골드 바의 경우 한국조폐공사, 은행, 증권사 등을 통해 금 실물 투자 및 구입이 가능하다. ✅ 장점 ❌ 단점 실물 자산 보유로 인한 심리적 안정감보관과 안전관리 필요 (금고 등)금융시스템과 무관한 가치 보존 수단구매 시 부가가치세 10% 부담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되기에 장기 보유 목적에 적합매수/매도 시 가격차이(스프레드)가 ..
[오늘의 경제 이슈] 금값은 왜 오르는 걸까? 이유는 ‘이것’ 때문이다.
·
경제/경제 이슈
최근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 속에서 한동안 조정을 받던 국제 금 가격이 다시 반등했다. 금값이 다시 오르자 자연스럽게 ‘왜 오르지?’라는 궁금증이 생겼다.그동안 금과 달러의 반대 흐름에 대해 공부한 경험이 있었기에, 이번에도 함께 살펴보았다. 실제로 달러 인덱스(DXY)는 최근 98선까지 하락한 후 현재 99선에서 횡보 중인데, 국제 금값은 다시 조금씩 오르고 있다. 그렇다면, 달러는 약보합인데 금은 왜 오르는 걸까?📈 달러 / 골드(OZ) 차트 📈 달러 인덱스 지수 (DXY)✏️ DXY(Dollar Index) : 주요 6개국 통화(유로, 일본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대비 달러의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 차트를 보면 달러 인덱스는 횡보 중인데, 국제 금값은 소폭 상승 ..
[오늘의 경제 공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
·
경제/경제 공부
요즘 뉴스를 틀기만 해도 경제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가 재당선된 이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 들어간 분위기다. 연일 쏟아지는 금리 관련 발언, 미·중 무역 긴장, 미국의 1분기 역성장 소식까지, 다양한 이슈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오고 있다. 이처럼 복잡한 시기에 경제 공부를 시작하게 된 건 나름 괜찮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처음에는 어렵기만 했던 경제 뉴스들이 이제는 점점 더 이해가 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최근 자주 등장하는 경제 용어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이다. 단어는 비슷하지만 각각이 의미하는 경제 상황은 완전히 다르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개념을 하나씩 정리해보려 한다.📈 인플레이션(Inflation)..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