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te Polka Dotted Pink Bow Tie Ribbon
[오늘의 경제 공부] 유상증자 vs 무상증자, 주가 영향까지 완벽 정리
·
경제/경제 공부
최근 DL이엔씨 주가가 4만 원 초반까지 내려갔다.원인은 여천 NCC 부도설이었다.여천 NCC는 한화와 DL이 50:50 지분을 보유한 석유화학 회사다. 업황 부진, 납사 가격 변동, 글로벌 수요 감소로 적자가 이어지면서 자금난에 직면했다. 결국 대주주들에게 추가 지원을 요청했고, DL은 올해 3월에 이어 약 2,000억 원 규모 유상증자로 지원하기로 했다. 문제는 이 소식이 전해진 뒤부터다. 투자자들은 “유상증자 → 기존 주주 지분 희석 → 단기 주가 하락”이라는 공식에 따라 매도세를 보였다. 이로 인해 DL은 물론이고 자회사로 있는 DL이앤씨 또한 8월 11일부터 하락세가 이어졌고, 현재 주가는 41,000원대다. 이 사례를 계기로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 그리고 이로 인한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
[오늘의 경제 공부] 투자할 때 꼭 알아야 할 경제 지표 완벽 정리
·
경제/경제 공부
주식 투자자라면 뉴스에서 한 번쯤 이런 문장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고용지표가 예상보다 강하게 나오며 나스닥이 하락했습니다.”“CPI 발표 후 금리 인상 우려가 커지며 기술주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이렇듯 경제지표는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특히 미국 경제 지표는 전 세계 금융시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투자자라면 꼭 이해하고 챙겨봐야 한다.이번 글에서는 주식 투자에 꼭 필요한 경제지표를 5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각 지표의 개념, 발표 일정, 해석법, 시장 반응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 1. 고용 관련 지표주식시장에서 ‘경기의 온도계’로 불리는 고용 지표.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특히 금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다.✅ 비농업 고용자 수 (Non-farm Payrol..
[오늘의 경제 공부] 생산자 물가지수(PPI), 왜 중요한가?
·
경제/경제 공부
📌 PPI(생산자물가지수)는 투자자와 경제 정책 입안자 모두가 주목하는 중요한 경제 지표이다. 하지만 CPI(소비자물가지수)에 비해 덜 알려져 있어 놓치기 쉬운 지표이기도 하다.오늘은 이 PPI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그리고 최근 발표된 수치가 투자 시장에 어떤 신호를 주는지 차분히 정리해보려 한다.🔍 생산자 물가지수(PPI)란?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자가 도매상이나 유통업체에 상품을 판매할 때 받는 출고가의 평균 변동률을 보여주는 지표이다.즉, 공장에서 물건을 팔 때의 가격이 오르면 PPI도 오르고, 내려가면 PPI도 하락하게 된다. 📌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측정 대상: 생산자가 받는 판매 가격 (도매 물가)측정 범위: 원자재, 중간재, 완제..
[오늘의 경제 공부] 시장 균형을 이해하는 수요와 공급 원리
·
경제/경제 공부
경제를 이해하는 첫걸음은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아는 것이다. 우리가 매일 경험하는 물건 가격 변동부터 큰 경제 현상까지, 모든 건 이 단순한 원리로 설명된다. 오늘은 시장의 기본 메커니즘인 수요와 공급에 대해 알아보자.📘 수요와 공급이란?수요와 공급은 경제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다. 수요는 소비자가 특정 가격에 재화를 구매하려는 욕구와 능력을 말한다. 예를 들어, 네가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이 2,000원일 때는 10개를 살 수 있지만, 가격이 5,000원으로 뛰면 4개만 살 수 있게 된다. 반면 공급은 생산자가 특정 가격에 재화를 팔려는 의지를 의미한다. 아이스크림 가게 주인은 가격이 오를수록 더 많은 아이스크림을 만들어 팔고 싶어 한다. 당연한 일이지.구분의미예시수요소비자의 구매 욕구와 능력아이스크림..
[오늘의 경제 공부] 소비자 물가지수(CPI)란?
·
경제/경제 공부
2025년 05월 14일 미국 05월 CPI 발표가 있었다. 도대체 CPI 발표가 무엇이길래 여러 매체 보도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걸까?오늘은 소비자 물가지수가 무엇인지, 경제 전반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 지표고, 중요하게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공부하고 기록해보고자 한다. 🔍 소비자 물가지수란 무엇인가?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빵, 라면, 휘발유, 월세, 병원비, 학원비 등 실생활에서 접하는 가격들을 하나로 묶어 평균을 내고, 이를 기준 연도(보통 100으로 설정)와 비교하여 지금의 물가 수준을 확인하는 방식이다.2023년 기준 소비자 물가지수가 110.4라면, 이는..
[오늘의 경제 공부] 채권은 무엇일까?
·
경제/경제 공부
최근 미국의 CPI 발표가 있었다. 결과로는 미국 4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3% 상승했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4%) 보다 낮게 나왔고, 전월 대비 또한 0.2%로 집계되어 전망치 (0.3%) 보다 낮게 나왔다. 이번 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옴으로써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충격이 물가지수에 반영되고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그래서 여러 전문가들이 채권에 대한 투자를 매력적이라는데 왜 채권이 매력적일까? 오늘은 채권이 정확히 무엇인지 공부하고 기록하려고 한다.❓ 채권은 무엇일까?채권은 일정 기간 동안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일에 원금을 돌려주는 금융 상품이다.언뜻 보면 정기예금과 유사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정기예금은 금융기관이 제시하는 금리에 따라 단순히 ..
[오늘의 경제 공부] 트럼프 1기의 관세 전쟁 정리
·
경제/경제 공부
2025년 1월, 도널드 트럼프가 다시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그리고 지금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도 그는 또다시 ‘관세’라는 카드를 앞세워 여러 국가들과 협상을 벌이고 있다.문득 트럼프 1기 당시의 관세 정책은 과연 어땠고, 그 결과는 어떻게 흘러갔는지 궁금증이 생겼다.과거를 되짚어보면 현재의 방향성을 유추할 수 있는 법이다.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 1기 시절의 관세 전쟁을 타임라인과 결과를 함께 정리해보고자 한다. ❓ 트럼프 1기, 관세 전쟁이 왜 시작되었을까?2016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우며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는 미국의 경제 문제 중 하나로 무역적자를 지목했고, 특히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집중적으로 비판했다.트럼프는 “중국이 미국..
[오늘의 경제 공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
·
경제/경제 공부
요즘 뉴스를 틀기만 해도 경제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가 재당선된 이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 들어간 분위기다. 연일 쏟아지는 금리 관련 발언, 미·중 무역 긴장, 미국의 1분기 역성장 소식까지, 다양한 이슈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오고 있다. 이처럼 복잡한 시기에 경제 공부를 시작하게 된 건 나름 괜찮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처음에는 어렵기만 했던 경제 뉴스들이 이제는 점점 더 이해가 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최근 자주 등장하는 경제 용어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이다. 단어는 비슷하지만 각각이 의미하는 경제 상황은 완전히 다르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개념을 하나씩 정리해보려 한다.📈 인플레이션(Inflation)..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