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읽기 전 안내 ※
이 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투자 기록입니다.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를 권유하지 않으며, 모든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7월 투자 회고가 조금 늦었다.
여름휴가 시즌이라 블로그도 잠시 쉬어갔고, 개인적으로도 여러모로 분주한 시기였다.
6~7월 장이 오를 땐 꽤 잘 버텼는데, 8월 1일 코스피 급락으로 계좌가 살짝 녹아내렸다. 하루 만에 -4% 정도 하락.
하지만 시장은 항상 등락을 반복하니까, 이런 조정은 어느 정도 감내하면서 다음 기회를 준비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이번 글에서는 7월 한 달 동안 어떤 종목을 사고팔았는지, 어떤 생각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했는지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 국내 주식 포트폴리오 변화
☑️ 신규 편입: 카페24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업인 카페24를 새롭게 매수했다. 이번 분기 실적 개선 기대와 온라인 쇼핑몰 생태계 내 입지를 고려해 장기적으로 성장성을 주목하여, 소액으로 투자를 했다.
☑️ 비중 유지 및 확대
- 현대차2우B는 계속해서 분할 매수 중이다. 배당 수익률이 안정적이고, 최근 자동차 업계가 관세 이슈로 불확실성은 있지만, 글로벌 전기차 전략 및 IRA 혜택 수혜주로 묶이며 중장기적으로 유효한 투자처라 보고 있다. 특히 ‘우선주+고배당’이라는 조합은 변동성이 큰 장에서 방어적인 포지션으로 괜찮은 선택이라 생각한다.
- DL이앤씨는 3개월째 보유 중인 종목으로, 원래는 건설주로 접근했지만 현재는 SMR(소형모듈원자로) 관련 테마로 더 주목받고 있다. 특히 미국의 원전 수요 확대와 국내 SMR 기술 수출 가능성, 8월 중순에 출시 예정인 관련 ETF 이슈로 수급 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건설 시장이 현재는 좋지 않지만 후에 살아남은 기업은 지금이 저평가 구간일 수도 있겠다고 판단했다.
- 삼성전자는 5만 원대부터 천천히 모아 오던 주식이다. 누구나 아는 종목이지만, ‘좋을 때 사는 게 아니라 남들이 관심 없을 때 사야 한다’는 원칙을 실천해 볼 수 있었던 경험이었다. 이번 달엔 테슬라와의 협업 이슈로 갑자기 주가가 급등했지만, 익절 시점을 놓쳐버려 수익을 실현하지 못했다. 오히려 지금은 주가가 다시 69,000원대로 밀리며 심리적 손실을 느끼는 중이다.
☑️ 종목 변경: 미래에셋증권 → 미래에셋증권2우B
기존 보유 중이던 미래에셋증권 보통주는 전량 매도하고, 같은 회사의 2우B 우선주로 교체했다. 보통주는 거래량이 많아 트레이딩에 유리하지만, 장기 투자 목적이라면 ‘고배당 + 안정성’을 제공하는 우선주가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 해외 주식 포트폴리오 변화
☑️ 신규 편입: 배당주 중심 (SCHD, 리얼티인컴)
7월부터는 배당 ETF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특히 토스증권의 ‘주식 모으기’ 기능을 활용 중인데, 수수료가 없고, 양도세를 이동평균법으로 계산해 주기 때문에 장기투자자에게 꽤 유리한 증권사라 생각한다.
처음엔 SCHD와 JEPQ를 함께 고려했지만, JEPQ는 나스닥이 고점을 경신 중이어서 가격 부담이 컸다.
그래서 현재는 리얼티인컴(티커: O)을 추가로 편입했다. 리얼티인컴은 월배당 리츠주로 유명하며, 현금 흐름이 탄탄하고 안정적인 임대 자산군을 보유하고 있어서 포트폴리오 상 헷징 자산으로 장기 보유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 [오늘의 배당] 미국 주식 배당투자 1순위 SCHD 정리해 봤다.
☑️ 단기 매매: 피그마(FIG)
디자인 협업 툴로 유명한 피그마(Figma)가 미국 증시에 상장하면서 관심을 가졌다.
상장 당일 소액 매수 후, 다음 날 전량 매도하여 약 +40% 수익률을 기록했다. 소액이긴 했지만 좋은 경험이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 한 가지 배운 점이 있다.
미국 IPO 주식은 한국과 다르게 장 시작 시, 같이 거래가 되지 않는다. 상장 첫날에는 전산 작업 때문에 언제 주식 거래가 될지 미지수였고, 이 때문에 밤새 대기해야 했다.
다음번엔 미리 시장가 주문을 해놓는 것도 고려해 볼 생각이다.
다만, 지금은 주가가 140달러 → 78달러까지 급락한 상황이다. 상장 = 상승 공식은 절대 아니라는 걸 다시금 느끼며, IPO 투자는 더더욱 신중해야겠다고 다짐했다.
👉 [오늘의 투자] 피그마 Figma 상장 전 기업 분석|제2의 서클이 될까
☑️ 비중 확대: TLT (미국 장기채 ETF)
TLT (미국 장기채 ETF)는 매달 이자도 들어오고, 금리 인하 기대가 있는 한 계속 모아가려고 한다. 마찬가지로 토스 주식 모으기 기능을 활용 중이며, 변동성 대비 수익이 나름 쏠쏠하다.
🧮 7월 한 달 수익률
💭 7월 한 달 느낀 점
📌 쌀 때 사고, 비쌀 때 판다
말은 쉽지만, 실천은 어렵다. 하지만 삼성전자를 5만 원대부터 모은 결과 +20% 수익률을 찍는 걸 보고 확신이 들었다.
지금은 모두가 좋다고 말하지만, 그 누구도 주목하지 않던 시점에 분할로 모으는 게, 직장인 투자자에게는 가장 확실한 투자 전략임을 다시 느꼈다.
📌 손절/익절 라인은 반드시 정하고 지킬 것
삼성전자 주가가 72,000원을 넘기며 정해둔 익절 라인에 도달했을 때 매도를 하지 못했다. 지금은 69,000원까지 하락한 상태고, 약 60만 원의 손실 기회비용이 발생했다.
앞으로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사전에 설정한 매도 전략을 반드시 이행하려 한다.
'오늘의 투자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기록] 2025년 6월 포트폴리오 회고|7월 증시 대응 전략은? (6) | 2025.07.04 |
---|---|
[투자 기록] 수익률 100%, 나는 왜 서클(CRCL)을 아직도 안 팔았을까? (0) | 2025.06.25 |
[투자 기록] 선거는 끝났고, 이제 계좌를 정리할 차례 (6) | 2025.06.04 |
[투자 기록] 삼성전자 주식, 정기 매수로 200주 모으기 도전 (2) | 2025.05.26 |
[투자 기록] 원화 절상 압박 본격화? 미국의 움직임에 따른 나의 투자 대응 (3) | 2025.05.22 |